투자 마음가짐을 잡아보자4 시드머니와 투자금을 모아보자. 안녕하세요? '와인'입니다. 주식 투자를 본격적으로 하기로 하신 분들이라면 다들 투자계획을 세우실 텐데요. ① 일정 금액의 시드머니를 묻어두고 더 이상 투자를 안 하시는 분들도 있고, ② 시드머니는 별로 없지만, 월급을 받을 때마다 적립식으로 꾸준히 투자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는 시드 머니도 투자하였고, 월마다 적립식으로 넣어서 투자하고 있습니다. 대략 25년 동안 투자하기로 마음을 먹었으니 초기 1,2년 차에 넣은 금액이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복리의 원리에 의해 초기 투자금이 계속해서 커지게 될 겁니다. 따라서 시드머니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는 어떻게 하면 더 투자금을 모을 수 있을지 고민해보았습니다. #1. 안 쓰는 물건 정리하기 저는 집에 있는 안 쓰는 물건을 정리하기 .. 2020. 8. 6. 초보 투자자에게 추천 유튜버 이번 글에서는 '초보 투자자'에게 추천드리고 싶은 유뷰버를 소개하겠습니다. #0. 나 대신 노력해서 만든 영상으로 주식 투자를 배우자. 학생이 영어 공부를 하려면 『성문영문법』을 사서 시작해야 하고, 수학 공부를 하려면 『수학의 정석』을 사서 시작해야 했습니다. 물론 요즘에는 그렇지 않겠지만 제 학창 시절에는 이게 정석 코스였습니다. 무엇이든 처음 시작하기 전에 관련 분야의 서적을 사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널리 널리 보급된 현재는 책뿐 아니라 많은 곳에서 좋은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따로 책을 읽을 만큼 부지런하지도 않고, 그 책을 살 돈을 모아 주식을 1주라도 더 사고 싶어서 유튜브에 있는 경제 관련 채널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금융용어도 잘 몰랐던 제가 이제는 어느 정도.. 2020. 8. 5. 혼란스러운 증시, 우리의 대처는? 이전 편에서 주식 투자는 동업자가 되는 것이라고 명확하게 마인드셋을 하였습니다. 이 성스러운(?) 전제 아래 세부적인 투자 자세는 무엇이 있을까요? #1. 증시는 원래 급변하는 거야. 다만 우리는 그 소용돌이 안에 있는 것. 헝가리 출신 전설적인 투자자,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경제와 주가를 산책 나온 주인과 개에 비유합니다. 주인이 개를 데리고 산책할 때 개는 주인과 나란히 가지 않고 주인을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지만 결국 주인과 같은 길을 걸어갑니다. 이때 주인이 실물경제를 뜻하며 개가 기업의 주가를 말합니다. 즉 단기적으로 다른 움직임을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주가와 경제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이죠. 장기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간다는 것은 알겠으나, 개인투자자의 입장에서 단기적인 주가 급락은 마.. 2020. 8. 5. 주식 투자, 동업자가 되는 것 #1. 주식 투자에 대한 마음가짐 주식의 사전적 정의는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로서의 금액 및 이를 전제로 한 주주의 권리·의무(주주권)'입니다. 쉽게 말해서 일정한 대가를 치르고 얻은 주식회사의 소유권이죠. 그저 싼 가격에 사서 비싼 가격에 파는 '일종의 물건'의 개념으로 생각했던 저는 주식의 대한 나름대로 새로운 정의를 하지 않으면 장기투자를 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주식 투자는 '동업자가 되는 것'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장래에 유망하다고 생각되는 산업이 있거나, 이를 단계적으로 회사의 비전을 실현시키는 유능한 CEO가 있다면 당연히 동업하고 싶지 않을까? 하지만 내가 당장 반도체를 생산하는 공장을 지을 수 없고, AI에 대한 기술적 기반이 전혀 없다면 누가 나와 동업을 하려고 할까? 하.. 2020. 8. 5. 이전 1 다음